1948년 7월 17일 제정, 공포된 대한민국 헌법에 민주주의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대의제 지방자치의 원칙이 선언되어 1948년 8월 15일 법률 제32호로 시행된 지방자치법에 의해 지방자치의 틀이 마련되었었습니다. 그러나 6.25 사변으로 인해 지방의회를 구성하지 못하고 1952년 5월 역사상 처음으로 지방의원 총선거를 실시하여 지방의회(시·읍·면의회, 시·도의회)를 구성 운영하여 오다가 1961년 5.16 군사혁명에 의해 지방의회가 일제히 해산되어 지방자치가 중단 되었습니다.
그 후 9차례의 지방자치법을 개정하는 우여곡절 끝에 1991년 3월 26일 시·군 및 자치구의회 의원 선거와 동년 6월 20일 시·도의원 선거를 통해 30년만에 지방자치가 부활되어 지역특성에 맞는 주민자치 정착과 지방의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의회 연혁
-
1988
- 05. 01
- 지방자치법 개정(자치구제 시행)
-
1990
- 12. 31
- 지방자치법 개정
-
1991
- 03. 26
- 초대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의회 의원 선거
- 04. 15
- 초대 부산진구의회 개원(의원 ▷29개 洞, 38명)
- 1인 선거구 20개 洞 20명, 2인 선거구 9개 洞 18명 - 04. 15
- 초대 부산진구의회 전반기 의장단 선출
- 의장 : 김성만 의원, 부의장, : 천두식 의원
-
1992
- 04. 02
- 지방자치법 개정(1991.12.31, 법률 제4464호)으로 최초 상임위원회 구성 및 위원장 선출 (4개 상임위원회 구성)
- 의회운영위원회(이상목 위원장), 총무위원회(이상만 위원장)
- 사회산업위원회(박상국 위원장), 도시위원회(김일랑 위원장)
-
1993
- 04. 13
- 초대 부산진구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출
- 의장 : 천두식 의원, 부의장 : 이승오 의원
-
1995
- 01. 01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의회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회로 개칭
- 06. 27
- 제1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
- 07. 10
- 제2대 부산진구의회 개원(의원 ▷29개 洞, 36명)
- 1인 선거구 22개 洞 22명, 2인 선거구 7개 洞 14명
- 제2대 부산진구의회 전반기 의장단 선출
의장 : 안영일 의원, 부의장 : 정희철 의원
- 상임위원장 선출
의회운영위원회(김성철 위원장), 총무위원회(김호철 위원장)
사회산업위원회(이좌호 위원장), 도시위원회(박홍재 위원장)
-
1996
- 12. 26
- 제2대 부산진구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출
- 의장 : 박상국 의원, 부의장 : 김성철 의원
- 상임위원장 선출
의회운영위원회(구태희 위원장), 기획총무위원회(이경구 위원장)
사회산업위원회(박수용 위원장), 도시위원회(한기등 위원장)
-
1998
- 06. 04
- 제2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
- 07. 03
- 제3대 부산진구의회 개원(의원 ▷29개 洞, 29명)
- 제3대 부산진구의회 전반기 의장단 선출
의장 : 문상우 의원, 부의장 : 이경구 의원
- 상임위원회 구성 및 위원장 선출(3개 상임위원회 구성)
의회운영위원회(정한열 위원장), 기획총무위원회(김장한 위원장), 사회도시위원회(최겸일 위원장)
-
2000
- 07. 08
- 제3대 부산진구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출
- 의장 : 구태희 의원, 부의장 : 정한열 의원
- 의회운영위원회(김장한 위원장), 기획총무위원회(하대홍 위원장), 사회도시위원회(김석조 위원장)




